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0년 1학기] 컴퓨터의 이해 - 중간과제물 (30/30)
    Study/과제 2020. 8. 22. 02:06

    1.     아래의 문제에 대하여  A4 용지 2페이지 내외로 서술하라. (15)

    가)   교재 1.7.1 개인용 컴퓨터와 2.6 컴퓨터산업의 미래를 읽고 최근 많이 사용되며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 3 대를 선정한다. 각각 서로 다른 특징(또는 기능이나 사용용도) 간단히 설명한다. 서로 다른 특징을 구별하기 어려우면 아래 () 사항으로 판단한다.

    나)   교재 1.4 컴퓨터시스템의 구성과 기능, 교재3.1 처리장치를 읽어본다. ()에서 선정된 개인용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의 운영체제 이름과 프로세서 이름을 적고,  참고문헌 또는 인터넷 등을 참조하여 기능이나 특징을 간단히 설명한다.

       

    2.     2차원바코드에 대하여 다음의 내용을 A4 용지 2페이지 내외로 서술하라. (15) 

    (가) 2종류 이상의 2차원 바코드에 대해 설명하라.

    (나) 2차원바코드의 사용 사례를 조사하라.

    (다) 본인의 이름과 소속 학과명이 포함된 텍스트가 들어 있는 QR코드를 만들어서 보고서에 첨부하라. QR코드는 네이버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QR코드 만들기’를 검색하여 무료로 만들 있는 사이트를 이용할 있으며, 스마트폰 앱스토어에서 ‘QR코드생성’이라는 키워드로 QR코드를 만들 있는 앱을 검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목차

    1.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 3대의 구별

         (가) 맥북 에어 2017

         (나) 아이패드 미니 5세대

         (다) 아이폰 7plus

     

    2.      2차원 바코드

         (가) 바코드에 대한 설명

         (나) 2차원 바코드 사용 사례

         (다) QR코드 첨부


    1.     컴퓨터 또는 모바일 장치 3대의 구별

     

    (가) 맥북 에어 2017 

    개인정보 관련 내용으로 삭제

     

    (나) 아이패드 미니 5세대

    개인정보 관련 내용으로 삭제

     

    (다) 아이폰 7plus

    개인정보 관련 내용으로 삭제

     

     

    2.     2차원 바코드

     

    (가) 바코드에 대한 설명 

        QR코드 (QR Code)

    일본 도요타의 자회사인 덴소 웨이브 사에서 1994 개발했다. 정보의 신속한 판단이 가능하여 처음에는 공장에서 자동차 부품을 추적하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했지만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담을 있는 점을 활용하여 사용하는 영역이 매우 넓어지고 있다. QR코드에 저장할 있는 정보의 최대 용량은 버전에 따라 다른데, 버전 40 경우 숫자는 최대 7,089, 영숫자 최대 4,296, 이진 최대 2,953바이트, 한자 최대 1,817자를 저장할 있다. (정광식 2, 유비쿼터스컴퓨팅개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표현 가능한 데이터 종류로는 모든 128 ASCII, 확장된 모든 256문자, 사용자 정의 8비트 문자가 있다. 4단계 오류 검증 복원이 가능하며 16개의 심볼 연결이 가능하다.

     

        맥시코드 (MaxiCode)

    맥시코드(MaxiCod) 미국의 택배회사인 UPS(Unied Parcel Service)에서 개발하여 사용하는 공공 도메인의 기계 판독 가능 심볼 시스템이다. 물류 추적 관리에 적합하며 바코드와 비슷하지만 바코드의 대신 정해진 숫자의 어둡고 밝은 육각형 격자로 배열된 점을 사용한다. 크기는 가로 1.12인치 세로 1.05인치로 고정 크기이며 코드의 중앙에 황소 파인더 패턴이 있다. 코드를 스캔하여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CCD카메라와 같이 정해진 2차원의 장치를 사용해야한다. 인쇄도 레이저와 같은 고해상도의 프린터에서 인쇄하지 않는 경우 사용이 어렵다. 그렇지만 코드의 25% 훼손되어도 스캐너로 스캔하여 해당 정보를 안정적으로 복원하여 읽어낼 있다. 또한 맥시코드는 IOS/IEC 16023 따라 표준화 되었다. 국제 코드 페이지 특수 인코딩 체계를 정의하기 위해 산업 표준 이스케이프 시퀀스를 지원한다. 기호 특성, 데이터 문자 인코딩, 기호 형식, 크기 인쇄, 품질 요구사항 오류 수정 규칙, 디코딩 알고리즘 사용자가 선택할 있는 응용 프로그램 매개 변수를 지정한다. 맥시코드는 보통 우편물 또는 고속 컨베이어에서 스캔되는 배송 포장의 주소 또는 고객의 정보를 인코딩하여 추적하는 데에 사용된다. 표현 가능 데이터는 모든 256 ASCII문자이다. 데이터 용량은 심볼당약 100문자, Append 700문자 이상 저장 가능하다. 열검증은 불가능하다.[1]

     

    (나) 2차원 바코드 사용 사례

    최근 간편한 사용과 이미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카카톡을 통한 서비스로 대중화 카카오페이가 QR코드를 사용한다. 간혹 가다 벼룩시장 또는 카드결제가 어려운 환경의 판매점에서 카카오페이 결제를 위한 QR코드를 신청하여 프린트 본인의 매대 앞에 세우거나 붙여 둔다. 카카오페이 QR코드로 결제하면 구매자는 본인이 이미 사용하고있는 간편한 결제가 가능하고 판매자는 카드 수수료 없이 고객에게 편리한 결제 시스템을 제공할 있다.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이득이 되는 서비스이다.

    두번째로는 공유 킥보드이다. 홍대 또는 강남 주변을 걷다 보면 주인 없는 킥보드들이 서있거나 쓰러져있는 것을 적이 있을 것이다. 킥보드들은 사용 분당 요금을 지불하고 사용하는 공유 킥보드로 QR코드를 이용하여 사용할 있는 시스템이다. 먼저 휴대폰에서 해당 킥보드의 앱을 다운받아 회원가입과 결제할 카드를 등록 이용을 시작한다. 앱을 통해 근처에 있는 킥보드의 위치를 확인 해당 킥보드로 가서 킥보드 손잡이 가운데에 있는 QR코드를 앱으로 찍는다. 이때 사진 촬영이 어려운 경우를 대비해 번호로 입력할 수도 있다. QR코드로 내가 킥보드를 정했으면 목적지까지 앱에서 종료버튼을 누르면 내가 시간만큼 요금이 청구된다. QR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일이 킥보드의 정보를 찾아서 등록하는 것이 아닌 간편하게 QR코드 인식 사용 가능하게 하여 편리함을 높였다.

    한국은 보통 1차원 바코드를 표준화하여 사용하고 QR코드 또한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데이터메트릭스(Datamatrix), 맥시코드(MaxiCode) 많이 사용한다. 특히 맥시코드는 미국의 택배사 UPS에서 개발되어 사용하고있다. 택배는 물품 마다 종류, 크기, 무게, 도착지, 받는 수령인이 전부 다르다. 이전에는 분류를 사람이 직접 해서 정확도가 떨어졌지만 정보를 코드화 인코딩 하여 물류 처리의 속도를 높이고 배송의 정확도를 높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였다. 또한 배송 기사가 해당 물품을 전달받을 코드를 읽어 자사의 장치에 입력하여 고객이 본인의 물품이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에 대해 있는 위치 추적 서비스까지 제공한다.

     

    (다) QR코드 첨부


    [1]AIM ISS MaxiCode-ISO / IEC 16023:2000, [맥시코드], https://web.archive.org/web/20120717022248/https://www.aimglobal.org/estore/ProductDetails.aspx?productID=205, 2020

    댓글

The name is already in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