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0년 1학기] 인터넷과 정보사회 - 기말 대체 과제물 (70/70)
    Study/과제 2020. 10. 3. 10:00

      o : 인터넷과정보사회


    -목차-

    1.    프로그램과 알고리즘의 차이점

    2.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차이점

    3.    DNS, IP, 도메인 이름

    4.    바코드와 QR코드의 기능적 차이점


    1. 프로그램과 알고리즘의 차이점

    [1]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어떠한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처리방법 및 순서를 컴퓨터 언어 형태로 기술해 놓은 것을 뜻 한다. 프로그래머가 명령한 명령어들을 수행하며 인간이 직접 하면 복잡한 작업을 컴퓨터의 처리 속도를 빌려 편리하게 처리하는 방법이다. 반면 [2]알고리즘은 해결하고 싶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계별 절차를 수학적으로 기술한 것을 뜻한다. 프로그램은 문제를 해결 할 알고리즘을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끔 풀어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알고리즘의 표현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 해당 방법으로 프로그램 언어로 변환하여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내 앞에 영어만 알아듣는 외국인이 직진 후 오른쪽으로 꺾어 들어가는 가게를 찾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직진 후 오른쪽으로 꺾어 들어간다.이고 프로그램은 직진 후 오른쪽으로 꺾어 들어간다를 영어로 번역하여 외국인에게 말해주는 것이다. 여기서 영어가 프로그램 언어가 된다.

     

    2.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차이점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는 부품 조립만 된다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물리적 부품은 지시를 수행할 수 있는 요소들일 뿐 지시를 할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 소프트웨어는 용도와 목적에 따라 시스템 소프트웨어와 응용 소프트웨어로 구분할 수 있다.

    [3]시스템 소프트웨어는 응용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기 위해 밑바탕이 되는 환경을 제공하고 컴퓨터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이다. 컴퓨터의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알지 못하는 하드웨어의 구조 또는 실행 명령을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통해 하드웨어를 실행할 수 있게 도와준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 컴파일러,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있다. 응용 소프트웨어는 실제 사람이 필요하여 그 목적을 위해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일반적으로 어플리케이션으로 알고있다.

    예를 들어 아이폰을 구입하였을 때 해당 핸드폰에서 시스템 소프트웨어는 iOS이며 응용 소프트웨어는 캘린더, 사진첩, 계산기, 게임 등이 있다.

     

    3. DNS, IP, 도메인 이름

    IP는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해 꼭 필요한 주소로 숫자로 이루어져있다. 사용자가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사용하려고 하면 고유한 주소인 IP가 사용자의 컴퓨터, 호스트 컴퓨터 보유하고 있다. 사용자가 호스트 컴퓨터의 IP를 입력하여 자료를 요청하면 호스트 컴퓨터는 사용자 컴퓨터의 IP로 해당 자료를 보내준다.

    그러나 평상시의 사용자는 IP 주소를 기억하고 다니며 직접 입력하지 않는다. 보통 www.knou.com처럼 텍스트 형태의 주소를 입력한다. 이는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한 것이다. 도메인 이름은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게 변환해 놓은 것이지만 컴퓨터는 도메인 이름으로 해당 IP 주소를 찾을 수 없다. 컴퓨터가 알아듣는 IP 주소와 사용자가 알아보는 도메인 이름을 중간에서 번역해주는 역할이 DNS 서버이다. 사용자가 인터넷에 도메인 이름인 www.knou.com를 입력하면 DNS 서버에서는 IP 주소인 123.456.789.00에 해당하는 페이지로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4]그러나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DNS 서버를 지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4. 바코드와 QR코드의 기능적 차이점

    1차원 바코드는 UPC, KAN, ISBN, ISSN 같이 방향으로 흑백의 막대로 표현된 형태이다. 표현이 간단하고 널리 사용하는 대신 저장할 있는 정보가 부호화 되어 저장된다. 저장 용량이 적다 보니 간단하게 확인해야 하는 작업에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상품 정보, 우편, 물류 등에 사용한다.

    2차원 바코드인 QR코드는 바코드에 비해 많은 정보를 저장한다. [5]최대 용량은 버전에 따라 다르지만 버전 40을 기준으로 최대 숫자 7,089, 영숫자 4,296, 이진값 2,953바이트, 한자 1,817자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주소, 사진, 동영상 등도 담을 수 있다. 매우 다양하고 여러 군데에 쓰이지만 간편 결제 시스템, 공유 킥보드 또는 자전거 인식에 정말 많이 쓰이고있다.

    전용 리더기가 필요하고 바코드의 방향과 리더기의 방향을 맞춰야만 하는 바코드와 달리 QR코드는 핸드폰으로도 바로 읽어낼 수 있으며 어느 각도에서 읽어내도 읽을 수 있다. 바코드는 훼손되면 읽어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지만 QR코드는 30% 이하로 훼손된다면 자체적으로 오류를 보정하여 읽어낼 수 있다.


    [1] 정재화 곽덕훈, 인터넷과정보사회,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6p

    [2] 정재화 곽덕훈, 인터넷과정보사회,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27p

    [3] 정재화 곽덕훈, 인터넷과정보사회,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63p

    [4] 정재화 곽덕훈, 인터넷과정보사회,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7, 122p

    [5] 김강현 외 4, 컴퓨터의이해, 한국 방송통신대학교 출판문화원, 2019, 85p

    댓글

The name is already in use.